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

네? 발달장애인에게는 해결중심모델을 적용할 수 없다고요?

또치-01 2021. 2. 6. 08:03
728x90
반응형

해결중심모델을 가르치다 보면, 이런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뭔가를 배울 기회가 있다고 해서 왔습니다만, 제가 하는 업무와는 별로 상관이 없는 것 같네요. 왜냐하면, 저는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일하고 있거든요. 지금 여기에서는 주로 질문법을 배우고 있는데, 중증장애인에게는 질문을 할 수가 없답니다." 혹은,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도 있다: "이거, 약간 인지 기능이 낮은 분들에게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예컨대, 어르신 분들이나, 발달장애인(지적, 자폐성 장애를 가진 분들)에게요. 이런 분들에게는 말 자체가 안통하거든요. 그래서 고민이 되네요."

 

지금까지는 나도 난감했다. 네트워크 안에서 관계 때문에, 혹은 자리 때문에 교육장에 (끌려?) 와서 의자에 등을 기대서 눕듯이 앉아 있는, 전혀 동기부여가 안되어 있는 학생들을 대하는 것 자체가 난감한 일이다. 하지만 더욱 난감한 사실은, 나도 저들의 말에 공감이 되어서 이렇게 답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 그렇네요. (시각적인 단서를 활용하는 등 몇 가지 방법이 있지만) 쉽지는 않겠지요? 왜냐하면 해결중심모델을 인지 기능과 언어 기능이 대단히 중요한 모델이고, 테크닉이 거의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질문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신다면 난감해지는 거죠."

 

하지만, 이같은 논리를 정면으로 부정하고, 해결중심모델이야말로 (특히) 자폐성 장애인에게 제일 적합한 모델이라고 주장하는 책을 만났다: "Autism and Solution-Focused Practice." 

 

 

이 책을 번역하기 시작했다. 앞으로 꾸준히 원고를 공유하려고 한다. 이 주제에 관심 있는 분들의 응원과 지지를 부탁드린다.

 

(자세한 내용을 읽으시려면, 아래 박스 링크를 클릭하셔요.)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01

원문: Els Mattelin, Hannelore Volckaert, Elaine Cook(2017) 번역: 이재원(2021) 제 1부. 이론 제 1장. 우리가 자페성 장애를 이해하는 방식 우리는, 자폐성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도운 경험과 많은 연..

empowering.tistory.com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02

자폐적 사고는 또 하나의 문화다 자폐성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세상을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자신이 보고 경험하는 내용에 독특한 의미를 부여한다. 그 결과, 이들은 우

empowering.tistory.com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03

원문: Els Mattelin, Hannelore Volckaert, Elaine Cook(2017) 번역: 이재원(2021) 제 1부. 이론 제 1장. 우리가 자폐성 장애를 이해하는 방식 해결중심접근은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딱 맞는 접근이다!..

empowering.tistory.com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04

원문: Els Mattelin, Hannelore Volckaert, Elaine Cook(2017) 번역: 이재원(2021) 제 1부. 이론 제 1장. 우리가 자폐성 장애를 이해하는 방식 디테일한 사고 방식 자폐성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사고 방..

empowering.tistory.com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05

원문: Els Mattelin, Hannelore Volckaert, Elaine Cook(2017) 번역: 이재원(2021) 제 1부. 이론 제 2장. 해결중심적 진단(Solution-Focused Diagnosis) 본 서적에서 우리는 자폐증이라고 진단받은 사람들에게 초..

empowering.tistory.com

 

<주의 사항>

본 번역 프로젝트는 강점관점실천연구소에서 비영리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번역은 또 하나의 창작,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힘들고 외로운 작업입니다. 누군가는 고생해서 작업한 결과물을 존중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본 번역물을 사용하실 때 출처를 분명하게 밝혀 주시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번역자, 이재원.


"그대의 머릿결 같은 나무 아래로"

 

<강의/자문/상담 문의는?>

강점관점실천연구소 이재원 

(010-8773-3989 jaewonrhi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