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렬한 호기심 위에 테크닉을 얹다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사진+동영상 2020. 5. 7. 18:06728x90반응형
유명한 (소트트랙) 스케이터, 고 노진규 선수의
국제 경기 리뷰 동영상(곽윤기 선수)를 보았습니다.
노력으로 모든 한계를 극복하고
쇼트트랙 상식마저 갈아치웠던 노진규 선수.
이 '괴물'의 경기 리뷰를 보면서
해결중심모델의 테크닉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
해결중심모델의 꽃은 질문 테크닉입니다.
질문 테크닉은 전혀 복잡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막상 실행하려면 어렵습니다.
부드럽게 하려면 더욱 어렵습니다.
간단한데 하기 어려우니 답답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이 포기합니다.
이유가 뭘까요?
어떻게 해야 잘 할 수 있을까요?
(1) 강점을 물어보는 질문은
우리에게 대단히 낯설게 느껴집니다.
당장 자문해 보세요.
평소 가족에게 얼마나 강점을 물어보시는지.
본인이 잘 안하는 거라서
막상 하려면 어렵습니다.
(2) 정답은 연습이고 노력입니다.
낯설기 때문에 연습이 중요합니다.
의도적으로 노력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입에 붙어 있어서 그냥 술술술 나오게 해야 합니다.
낯선 질문을 입에 붙이려면?
연습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3) 그리고 필요한 게 하나 더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의 강점에 대한 강렬한 호기심.
그냥 조금 궁금하면 안됩니다.
강.렬.해야 합니다.
그냥 조금 해 보다가 마는 정도는 안됩니다.
끝끝내 끌어내야겠다는 각오가 있어야 합니다.
<해결중심 질문을 잘 하려면>
(1) 질문의 논리를 명확하게 이해한다.
(2) 기본형 질문을 입에 완전히 붙인다.
(3) 강렬한 호기심 위에 질문을 싣는다.
김인수 선생님은 어느 상담에서
내용적으로 똑같은 질문을 12번을 던집니다.
그만해도 될 텐데... 싶은 장면에서
포기하지 않고 끝끝내 내담자의 강점을 끌어냅니다.
강렬한 호기심에 단순한 테크닉을 얹어서
끈질기게 구사하는 겁니다.
=====
"다 주거써, 나 말리지 마"
'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 > 해결중심 사진+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결중심 가요(歌謠)! (0) 2020.05.14 강점으로 이긴다 (0) 2020.05.10 언제 '결정(결심)' 하셨어요? (0) 2020.05.07 낯선 꽃 (0) 2020.05.06 해결중심은 확성기다 (0) 202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