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02
    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 2021. 2. 9. 06:10
    728x90
    반응형

    원문: Els Mattelin, Hannelore Volckaert, Elaine Cook(2017)

    번역: 이재원(2021)


    제 1부. 이론

     

    제 1장. 우리가 자폐성 장애를 이해하는 방식

     

    자폐적 사고는 또 하나의 문화다 

     

    자폐성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세상을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자신이 보고 경험하는 내용에 독특한 의미를 부여한다. 그 결과, 이들은 우리가 보기에 “이상하거나” 낯선 방식으로 행동하게 된다. 현실에 대한 인식, 그 인식에 의미를 부여한 결과물, 그리고 이어지는 행동 사이에 놓인 관계는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그림 1.2 연결성

    사람들은 모든 감각을 활용해서 현실을 인식한다. 현실을 인식하는 동안, 두뇌는 감각 자극을 처리한다. 그 결과로 의미가 부여된다. 우리는 개인 성격, 역사, 맥락, 이전 경험, 가치, 관념 등에 의지해서 특정한 사건이나 자극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한다. 우리는 생각, 습관, 경험 등에 기초해서 의미를 배정하고, 결과적으로 어떤 특정한 행동이 개념적으로 도출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행동을 실제로 수행한다. 따라서 우리는 의미가 특정한 행동의 선택과 적절한 수행으로 귀결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행동에 대한 반응과 그 결과는 다시금 우리가 부여하는 의미에 영향을 준다. 이는 사고와 행동이 끝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순환적 과정이다. 우리가 보기엔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사고-행동 순환 과정은 비장애인의 사고-행동 과정과는 전혀 다른, 독특한 방식으로 방식으로 작동한다. 

     

    무엇보다 먼저,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감각 자극을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고 처리한다. 감각에는 통상적인 다섯 가지 감각 외에 두 가지 내적 감각이 존재한다: 평형 감각과 자기 수용 감각(자세 감각). 신체가 움직일 때마다, 우리 몸에 내장되어 있는 균형 기관은 몸의 회전 운동을 감지한다. 그러므로 균형 기관은 균형과 움직임 감각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자세를 관장하는 감각 세포는 우리가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주고, 우리 몸의 모든 부분이 만들어 내는 움직임도 알려준다. 과학자들은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이러한 감각 자극 일부에 대해서 과도하게 반응하거나 저조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J는 선글라스와 귀마개를 언제나 가방에 넣고 다닌다. 그녀는 태양빛에 대단히 민감하다: 햇빛을 쬐면 두통이 온다. 그리고 그녀는 형광등 불빛도 참기가 어렵다. 소음이 큰 장소에 가면, 귀마개를 착용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온다. 이럴 때 귀마개를 착용하지 않으면, 대단히 빠르게 과자극받은 상태가 될 것이고, 결과적으로 신체적 고통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자극 때문에 그녀는 혼자 다녀야 한다. 다른 한 편으로, 그녀는 배고픈 감각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 그녀에게는 “허기” 감각이 의미가 없다. 그래서 고정된 시간에 밥을 먹는 방법을 배워야만 했다. 

     

    C는 45세 여성이다. 그녀는 운전을 할 줄 알아서 평소에 스스로 치료 센터에 방문한다. 그 길은 운하 옆으로 나 있고, 가로수가 심어져 있다. 그녀가 가로수길을 지날 때 나무들 사이로 햇빛이 스며든다. 그러면 그녀는 그 길에서 운전을 하기가 거의 불가능해진다. 갑자기 강렬한 햇빛이 차 안으로 침투해 들어오면 흥분된 마음을 가라앉히기 위해서 가던 길을 멈추고 정차를 해야 한다. 

     

    필자는 교육을 할 때, 발표하기 위해서 프로젝터를 즐겨 사용한다. 그런데 자신의 경험을 말하기 위해서 나와 동행한 M은 프로젝터가 작동하고 있으면 제대로 입을 떼지도 못한다. 왜냐하면 프로젝터가 윙윙 거리면서 단조로운 소리를  만들어 내는데, M은 이 소리를 무시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J는 매우 재능이 많은 자폐성 장애인이다. 그는 온기도, 추위도 느끼지 못한다. 그래서 한 겨울에도 달랑 티셔츠 한 장만 입고 자전거를 타러 나간다. 

     

    E는 지적 능력이 뛰어난 자폐성 장애인으로서 선생님이다. 그녀는 평상시, 특히 저녁 시간에 두통을 호소하곤 한다. 무슨 일이 있는 건지 대화를 나누면, E가 갈증을 느끼지 못한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그녀는 하루 종일 물 마시는 것을 잊고, 그래서 두통이 오는 것이다. 그래서 그녀는 쉴 때마다 물 한 컵씩을 마셔야겠다고 결심한다. 물을 마시면 두통이 사라진 것처럼 좋아진다. 하지만 이번에는 자신이 매주 일요일 오전 11시 경만 되면 매우 까칠해진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녀는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건지 알지 못한다. 경험에 따르면,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대개 배고픔을 느끼지 않는다. 그녀는 이 사실을 한 동안 생각하더니 오전 시간에 간단하게 요기를 하기로 결심한다. 그러자 일요일 기분이 훨씬 더 좋아진다.


    Olga Bogdashina는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인식 과정의 전경에 나와 있는 감각 자극을 배경에 존재하는 감각 자극과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다양한 증거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중요한 감각 정보와 덜 중요한 감각 정보를 가리지 않고 모두 디테일하게 받아들인다. 더구나, 이들은 정보와 정보를 연결하지 않고 모든 각각의 정보를 완전히 독립적인 단위로서 경험한다. 비장애인은 어떤 장면을 보면 그 장면을 전체로서 수용하지만,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은 그 장면을 이루는 수없이 많은 조각 정보가 쌓여 있는 더미로 인식한다. 그러므로 이렇게 쌓여 있는 수없이 많은 조각 정보 중에서 단 하나의 세부 사항만 바뀐다고 해도 이들은 전혀 다른 전체 그림을 보게 될 것이다.


    자폐성 장애를 가진 한 소년이 처음으로 학교 여행을 갔는데, 화장실을 사용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이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변기가 옛날 스타일의 검은색 변기이기 때문이다. 이 소년은 오로지 하얀색 변기만 알고 있다. 따라서, 이 소년에게 검은색 변기는 변기가 아닌 것이다.


    게다가, 동시에 처리해야 할 정보가 지나치게 많다면,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그 정보 더미를 작지만 의미 있는 조각 정보로 절대로 나누지 못한다.


    K는 어린 시절 반 친구들 중 일부가 매일 자리를 바꾸는 바람에, 자기 반을 인식하는 게 어려웠다고 말한다. 그는 동일한 친구들이 매번 정확하게 고정된 자리에 앉아야 인식할 수 있었던 것이다. 만약 자리가 바뀐다면, 그에게는 완전히 새로운 반으로 느껴진다.


    이 사례를 보면,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기가 경험한 내용에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비장애인은 절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완전히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따라서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이상하고” 낯선 방식으로 경험에 반응한다. 그러나 만약 우리가 시간을 들여서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을 배운다면, 이들의 행동을 충분히 납득할 수 있다. 

     

    이들은 그냥 다를 뿐이다. 

     

    이들을 완전히 다른 문화권에서 온 사람들과 비교할 수도 있겠다. 예컨대, 만약 그리스 사람들이 머리를 뒤로 젖히면서 그와 동시에 혀로 아주 미묘하게 튕긴다면, 이 행동은 “싫다”는 의미이다. 이들이 “좋다”는 말을 할 때는 머리를 옆으로 움직인다. 우리가 이런 사실을 모른 채 그리스 사람과 대화를 나눈다면, 엄청난 혼란과 오해가 생겨날 수도 있다. 

     

    만약 우리가 전혀 다른 문화권에서 온 사람과 대화를 나눈다면, 그가 사물에 전혀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고 예상한 상태에서 대화에 참여할 것이다. 우리는 이해가 안되는 말이나 행동에 대해서 설명을 요구할 것이고, 그들의 말이나 행동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논제를 구체적으로 이야기할 것이며, 서로 상대방의 행동에 적응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만약 우리가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과 대화를 나누려고 한다면,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 감각 자극, 그리고 각종 생활 사건에 대해서 부여할 수 있는 의미에 대해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는 일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위 글의 전체 목차를 확인하거나 다른 부분을 읽고 싶으시다면, 아래 박스 링크를 클릭하셔요>

     

    네? 발달장애인에게는 해결중심모델을 적용할 수 없다고요?

    해결중심모델을 가르치다 보면, 이런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뭔가를 배울 기회가 있다고 해서 왔습니다만, 제가 하는 업무와는 별로 상관이 없는 것 같네요. 왜냐하면, 저는 중증장애인 거주시

    empowering.tistory.com


    "그대의 머릿결 같은 나무 아래로"

     

    <강의/자문/상담 문의는?>

    강점관점실천연구소 이재원 

    (010-8773-3989 jaewonrhie@gmail.com)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