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열쇠는 이미 꽂혀 있었다
    상담 공부방/해결중심 사례관리 자문 2021. 9. 28. 20:29
    728x90
    반응형

    약 2개월 전, 내가 자문하는 모 복지관 사례관리자 선생님께서 이런 질문을 주셨다:

    "제가 돕고 있는 학생은 정신적 충격이 우려되어서 의뢰되었습니다. 수년 전에 식구 중 한 분이 극단적인 시도를 하셨거든요. 다행히 돌아가시지는 않았지만 이 학생은 큰 충격을 받았을 거에요. 그런데 이 친구는 제가 가족 이야기를 꺼내기만 하면 대답하지 않거나 '모르겠어요' 라고 말하면서 회피하는 느낌이 듭니다. 제가 뭘 질문하면 거의 '네', '아니요', '모르겠어요', '좋아요' 이 네 마디로만 답합니다. 그래서 상담을 어떻게 이끌어 가야할지 무척 어렵습니다. 당사자가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는 의사가 분명해 보이는 주제에 대해서 계속 질문을 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담당 선생님께서는 내게 배우신 대로, 의뢰 문제와 관련해서 학생이 ‘원하는 미래 모습'을 열심히 물어보셨다고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학생은 그 이야기를 가장 하고 싶어하지 않았다. 담당 선생님께서는 코로나19 사태로 얼굴을 대면하기도 어려워서 전화 통화나 문자로만 소통하고 계셨는데, 그마나 연락도 자주 씹으니 답답함이 커져가고 있었다.

    말씀을 곰곰이 들으면서, 어떤 특정한 모델이나 접근법을 적용하기에 앞서서, 기본적으로 신뢰 관계가 아직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상황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상담자가 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방향이 앞서니 이런 일이 발생한다. 물론, 담당 선생님께서 잡으신 방향은 그 자체로 선한 방향이고 나쁘지 않다. 다만, 아주 살짝 내담자를 앞섰기 때문에 어려움이 생길 뿐.

    그런데, 담당 선생님 말씀을 조금 더 들어 보니, 해당 학생이 그나마 관심을 보이면서 대화를 허용(?)하는 주제가 있었다. 바로, 입시 문제였다. 해당 학생은 고3이었는데, 진로에 대한 고민과 어려움을 표현했다고 한다. 긍정적 사항 두 가지: (1) 관심을 가지고 알고 싶어하는 주제가 있었다. (2) 그래도 이런 고민을 이야기 하는 걸 보니, 기본적으로 학생과 신뢰 관계는 확보된 셈이다.

    그래서 이렇게 말씀드렸다:

    “우선은, 신뢰 관계를 좀 더 쌓는 편이 좋겠습니다. 지금은 다른 것은 모두 잠시 잊으시면 좋겠어요. 그래도 학생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가 있으니, 희망적입니다. 진로와 관련해서 이 친구에게 도움을 주시죠. 정보도 제공해 주시고, 선생님 개인 경험도 나누시면서 소소한 대학 생활 이야기도 들려 주세요. 그리고 학생 반응을 지켜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며칠 전, 자문 회의에서 담당 선생님에게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자문 요청서 내용>

    "지난 자문 내용대로 내담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무리하게 상담 목표를 작성하기보다는 먼저 일상적인 대화 위주로 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현재 내담자의 주요 관심사인 대학 진학과 대학 생활에 관련되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진로 검사도 받게 해 주고, 제 대학 생활 경험담을 얘기하며 내담자가 이전보다는 조금 더 저를 편하게 대하고 있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현재 내담자는 대학 진학과 관련하여 동아리 활동 및 포토 폴리오 작성으로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어서, 시간이 가능할 때 만나기로 하였고, 아직도 한 번에 연락이 되진 않지만 제가 보내는 문자에는 답장을 잘하고 있습니다."

    <담당 선생님 코멘트>

    "우선, 강사님이 지난 번 자문 때 너무 좋은 이야기를 해 주셔서, 저도 다른 거 다 포기하고 이 아이랑 정말 일상적인 이야기 하면서 좀 많이 친해져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대학 이야기를 많이 했거든요. 그러니까, 오히려 말이 되게 많아지더라구요.  원래는 제가 하는 말에 단답으로 '네', '아니오' 이렇게만 대답했는데, 대학교 이야기를 하니까, 대학생활에 대한 로망이 있잖아요? 제 경험담 같은 걸 섞어서 좀 이야기를 해 주니까, 되게 더 좀 편하게 이야기를 본인이 더 대답을 잘 하고 많이 해 가지고 그래도 이제 좀 저를 편하게 생각하고 연락도 그래서 좀 잘 해 주는 것 같아요."


    열쇠는 이미 꽂혀 있었다. 어른들이 바라보았을 때 중요한 문제, 그러므로 다른 일보다 먼저 다뤄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로 그 문제부터 접근한다고 문이 열리진 않는다. 그보다는 상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바, 상대가 원하는 바부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욕심을 줄이고, 선의도 줄이고, 작지만 의미 있는 신뢰를 쌓으면서 우호적인 관계부터 만들어야 한다. 그에게서 시작해야 우리에게, 나에게로 올 수 있다. 

     

    원조전문가 동료들에게 강점관점실천에 대해서 가르치면서 고민이 늘어 간다. 무엇보다도 깊은 고민: “우리가 고급진 해결중심 질문 테크닉이나 강점관점실천을 논하기 이전에, 내담자에게 공감하고 진정성 있게 다가가는 기본적인 방법에 대해서 먼저 고민하고 이야기하고 배워야 하지 않을까? 정말 기본적인 가치, 개념, 테크닉부터 다시 점검하고 그 지점에서 다시 출발해야 하지 않을까?”


    해외 고급 강점관점실천 자료

    이메일 뉴스레터로 편하게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https://vo.la/gN9Du


    "그대의 머릿결 같은 나무 아래로"

     

     

    <강의/자문/상담 문의는?>

    강점관점실천연구소 이재원 

    (010-8773-3989 jaewonrhie@gmail.com)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