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
융합 시대에 스트리트 파이터에서 배우는 사회사업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12. 3. 06:54
본격적인 융합시대가 왔다! 최근, 종합사회복지관 중심으로 서울 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동중심(지역밀착형)실천 방향으로 나아가는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오랫동안 복지관 3대 기능(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지역사회조직)에 맞춰서, 부서도, 업무도, 사람도 각각 날카롭게 나뉘어 있던 흐름이 하나로 합쳐진다. 실무자 관점에서 동중심실천 양상을 요약하자면, 복지관 관할 지역을 구성하는 안에 위치한 특정 구역(예컨대 동)을 맡은 담당자가, 그 구역 안에서 사례관리도 하고, 서비스 제공도 하면서, 지역사회조직도 해야 하는 상황(위 그림 참조)이다. 그러니까 북치고, 장구도 치고 있는데, 드럼도 쳐야 하는 상황. 기존 일을 하면서, 동시에 그동안은 (기존 조직 편제에 따르면 남의 부서 일이었으므로) ..
-
강점에 기반하여 장애를 가진 사람을 원조할 때 따라야 할 다섯 가지 원리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11. 16. 18:48
강점에 기반하여 장애를 가진 사람을 원조할 때 따라야 할 다섯 가지 원리 (The Six Principles of Strengths-Based Helping) 원문: Walter E. Kisthardt(2012) 번역: 이재원(2021) 1. 원조 과정에서 우리는 전문가를 포함하는 타인이 일방적으로 규정한 병명, 결함, 증상, 약점이 아니라,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강점, 관심, 열망, 희망, 꿈, 염원, 지식, 능력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서비스 참여자로서 그대를 만나는 사람들은 여러 가지 문제를 덕지덕지 매달고 있으며 온갖 병리적 증상을 가진 존재가 아니다. 기본적으로, 이들은 생존자(suvivors)이다. 이들은 뛰어난 적응력을 가진 사람이다. 가난, 억압, 차별, 질병, 좌절, 무관심..
-
자꾸 실패하는(?) 주민/이용인을 어떻게 도울까?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11. 15. 06:54
사례관리(지원) 과정을 간단하게 요약해 보자: (1) 관계: 주민/이용인과 라포를 형성하기. (2) 목표: 함께 합의해서 구체적인 목표 세우기. (3) 실행: 상호 합의한 목표를 향해서 나아가기. (4) 평가: 함께 노력한 결과를 확인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여기에 강점관점을 얹어서 다시 기술해 본다: (1) 관계: 긍정적인 대화(개인과 지역사회 자산[Asset] 확인하기)를 통해서 라포를 형성하기. (2) 목표: 주민/이용인이 원하는 바를 중심에 놓고, 지원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바를 절충하기. (3) 실행: '과거에 이미' 성공했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격려하면서 한 걸음씩 나아가기. (4) 평가: 지금까지 성공한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충분히 인정하고, 축하하고, 격려하기. 이 모든 과정이 처음부..
-
언제 캠프를 할 거냐, 빨리 해라, 왜 가을 캠프는 없냐, 계속 그래요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11. 12. 06:02
"몰라요, 아니요, 싫어요, 뭔데요" 심층 인터뷰 03 "몰라요, 아니요, 싫어요, 뭔데요, 라고 말하는 청소년 내담자 마음을 어떻게 열 수 있는가?" 이런 주제로 강점관점실천에 관심이 많은 사회사업가 세 명이 모여서 자유로우면서도 심층적으로 대화를 나누었다. 안혜연 사회사업가는 단기청소년쉼터에서 10대 중반에서 20대 초반 청소년을 만나는 사람. 방예지 사회사업가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조금 더 어린 청소년을 만나는 사람. 그리고 강점관점실천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나 이재원 사회사업가. 세 번째 꼭지에서는 완전히 새롭게 접근하는 단체 프로그램에 대해서 정리해 본다. 아직까지 사회사업 영역에서는 우리가 돕는 사람들을 뭔가 부족한 사람, 결핍된 사람, 그래서 우리가 채워줘야 하는 사람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이 남..
-
아이들이 가꾼 동네 귀퉁이 채소밭 이야기 #1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11. 11. 07:09
사회사업 환경은 점점 더 지역사회 기반(Community Based)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예컨대, 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사례관리팀과 지역복지팀으로 나뉘어 있던 부서 간 경계가 무너지면서 동 중심 조직으로 바뀌어 다중실천을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장애인복지관에서는 기존에 이미 대세가 되어가고 있던 PCP(사람중심계획)에 지역사회중심실천 개념이 더해진 자산기반접근(Asset-Based Community Appoaches)이 떠오르고 있다. 아주 쉽게 말하자면, 이젠 사회사업가가 그 어떤 일을 하든지, 지역사회 안에서, 지역사회 주민들과 함께, 지역사회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서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오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우려스럽게도, 아직 현장 동료들 마음은 별로 준비되어 있지 않은 듯 싶다. 그동안..
-
가난한 사람들을 생각하면 어떤 생각이 마음에 떠오르나요?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11. 6. 09:35
안젤라 블랜차드(Angela Blanchard)는 지역사회 개발, 재난 회복, 이민자 사회통합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실천가다. 안젤라는 미국 텍사스 주에서 가장 거대한 지역사회 개발 기관인 'BakerRipley'에서 오랫 동안 회장이자 상임이사로 일했다. 그녀는 강점관점으로 지역사회 개발에 임하는 ABCD(Asset-Based Community Developement) 모델을 휴스턴 이민자 지역사회에 적용해서 수많은 의미 있는 사례를 만들어 냈다. 강점관점실천연구소에서 안젤라가 2011년 휴스턴에서 베푼 TED 강의 원고를 번역해서 소개한다. "가난한 사람들을 생각하면 어떤 생각이 마음에 떠오르나요?" 범죄, 그래피티, 절망, 허름한 골목, 폭력 등... 그래요, 좋습니다. 이런 단어가 우리 마..
-
오타니 쇼헤이와 목표 달성 툴, 만다라트(Mandal-Art)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10. 23. 08:16
타자로 투수들을 압도하고 있는 오타니는 투수로 타자들을 제압하고 있다. 2021년 7월 7일, 야구 전문가 이창섭 기자가 한겨레신문에 기고한 글에 나오는 인상적인 문장이다. 이창섭 기자는 일본 출신으로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뛰고 있는 야구 선수, 오타이 쇼헤이가 현재 어떻게 활약하고 있는지를 한 문장으로 묘사하고 있다. 야알못(야구를 잘 모르는 사람)도 야구에서 투수가 가장 중요한 포지션이라는 사실은 안다. 야구를 하면 한 선수가 타격도 해야 하고 수비도 해야 하지만, 투수는 타격은 하지 않고 거의 전문적으로 공만 던진다. 그만큼 투수 역할이 크고 중요하며, 던지는 역할에 오롯이 집중해야만 잘 할 수 있는 포지션인 까닭이다. 그런데 오타니 선수는 전세계에서 야구를 가장 잘 하는 사람들이 모인 메이저리그에서..
-
조구함을 아십니까?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10. 21. 08:00
기자: 우리 나라 유도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지도자들이 어떤 식으로 하면 좋을까요? 조구함: 저는 어렸을 때부터 억압된 분위기 속에서 훈련을 하지 않았어요. 한 번도 없었어요. 저는 정말 좋은 스승님 밑에서 유도를 배웠고, 들판에 풀어놓은 소처럼 자유롭게 운동하면서 하고 싶은 거 하고 그렇게 유도를 배웠거든요. 그래서 굉장히 업악된 환경에서 자라온 선수들 보면 안타깝기도 하고, 그런 분위기는 없어지는 게 맞다고 생각하고요. 선수들의 인권이 중요하기 때문에, 뭔가 자유롭게 유도를 하다 보면 더 재미를 느끼고, 하고 싶은 걸 더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게 지도자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제가 지도자가 된다면 어느 정도 전통이라는 게 있어서 한 번에 바뀌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그 선수가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