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꿀달 이야기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커플치료(성공회대) 2020. 2. 8. 08:08
원문: Elliott Connie(2012) - "Solution Building in Couples Therapy" 번역: 이재원(2019) ===== 제 2장. 치료의 방향 설정하기 https://empowering.tistory.com/35 ===== 제 3장. 내담자 부부와 관계 맺기(Connecting with the couple) https://empowering.tistory.com/58 ===== 제 4장. Honeymoon Talk 커플의 과거 성공 경험을 리뷰하기 상담자의 언어에서 '예외'란 내담자가 미래지향적인 해결책을 만들면서 무의식적으로 생활 속에서 긍정적인 행동을 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예외는 해결중심모델의 출발부터 중요한 부분이었다. 밀워키에서 해결중심모델의 개발자들은 사..
-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사진+동영상 2020. 2. 8. 07:41
보이나요? 보이나요? 보이나요? 보이나요? ===== 그대가 없다고 말하면, 보이지 않고/못보게 되고, 실질적으로 존재할 수 없지만, 그대가 있다고 말하면,보이게 되고/보게 되고, 실질적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클라이언트의 강점/자원은, 아스팔트 주차장 한 켠에 피어난이름 모를 잡초 같은 것. ===== Photo by 이선희 (대구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센터) ===== 방명록 링크(아직도 안 적으셨다면? 클릭!) https://empowering.tistory.com/guestbook 연락처 _ 휴대전화: 010-8773-3989 _ 이메일: jaewonrhie@gmail.com _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dc9427
-
퍼즐을 맞춰라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0. 2. 6. 17:16
서양학문의 시조는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이다. 소크라테스는 진리를 위해서 독배를 마셨고, 플라톤은 "이데아 론"을 제시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을 계승했다, 는 정도가 이들의 위대함에 대한 칭송의 핵심이다. 왜? 이들은 최초로 근본적 원리를 기준으로 삼고, 그 기준에 맞추어서 모든 사상, 학문, 개념을 일관되게 체계화시켰기 때문이다. 사상과 철학을 논한 사람은 이들 이전에도 이후에도 넘쳐났지만, 이 세 명이 중요한 핵심적인 이유는, 바로 전체적이고, 일관된 하나의 거대한 학문 체계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상의 논의를 기반으로 (제너럴리스트) 사회사업을 생각해 본다. 나는 사회사업의 꽃이 제너럴리스트 사회사업이라고 생각한다. 대단히 역설적인 말이지만, 스페셜리스트는 되기가 힘들어 보이지만..
-
김인수는 살아 있다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0. 2. 5. 06:31
김인수는 (여전히) 살아 있다. 외국 자료를 읽어 보면, 김인수는 전형적인 '외유내강형' 인물이었다. 가족과 사람들에게는 한없이 친절하고 관대하였지만, 내면적으로는 대단한 열정과 고집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 예외와 기적그림을 어떻게 해서든, 무슨 수를 써서든 끌어 내려고 하는 집요함은 문자 그대로,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김인수가 내담자를 상담한 어떤 내용을 읽어보면, 똑같은 질문을 이리 저리 모양을 바꾸고 뉘앙스를 조금씩 달리 해서 12번씩이나 던지는 장면이 나온다. "긍정적인 답변이 나올 때까지" 질문한 것이었다. (물론, 테크닉이 워낙 부드럽고 우아해서 전혀 힘을 들이지 않고 툭, 툭, 하면서 답변을 끌어냈다.) 이런 "집요함(?)"은 어디에서 나왔을까? 그렇다. "클라이언..
-
김인수는 죽었다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사진+동영상 2020. 2. 4. 07:53
아마, 나만큼이나 김인수를 미치고 환장하게 좋아한 사람도 없을 거다. 해결중심모델이 낳은 불세출의 슈퍼스타, 하나의 모델을 넘어서 모든 원조전문직에게 존경받는 사람. 그러나... 한 마디로, 김인수는 죽었다. 벌써 옛날에. 서양 사람들은 이미, 김인수를 넘어서고 있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한국 사람들만 여전히 김인수의 유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김인수의 최대 강점은, 임상적으로는 타고난 순발력으로 거의 내담자와 함께 "즉흥적으로" 해결중심모델의 질문 테크닉을 만들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는 해결중심 "이분법"을 지나치게 강조했다. "문제 이야기는 문제를 낳고, 해결 이야기를 해결을 낳는다." 참 멋진 이야기다. 하지만 이게 정말로 사실인가? 아니, "항상" 사실인가? "문제 이야기는 문제를..
-
정서는 정보다지식 공유하기(기타)/The RULER model 2020. 2. 3. 13:00
Permission to Feel 제 1부 제 2장. 정서는 정보다 - (1) 원문: Marc Brackett(예일대학교 정서지능연구센터 소장) 번역: 이재원(2020) ===== “그래서, 지금 어떤 감정이 느껴지세요?” 이 질문은 당신을 속이기 위한 질문이 아니다. 하지만 들리는 것보다는 좀 더 복잡하다. 왜냐하면 우리는 언제나 한 번에 하나 이상의 감정을 느끼기 때문이다. 정서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흐름이지, 이따금씩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다. 우리 마음 속에는 강이 있어서 어떤 때는 고요하고 평온하지만, 분노가 올라와서 범람하면 타인에게 밀려가기도 한다. 이렇게 복잡하기 때문에 아직도 탐색할 영역이 많다. 잠에서 깨어나는 순간에 자신의 모습을 유심히 관찰해 보라. 심지어 그 짧은 찰나에도, 의식이 돌..
-
느끼한(?) 대처질문 테크닉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0. 2. 2. 20:07
대처질문 테크닉. 대처질문은 기본적인 해결중심 질문 테크닉이다. 한 마디로, 대처질문은 "간접적인 칭찬"이다: (내담자가 뭔가를 잘 했을 때) "어떻게 그렇게 하실 수 있었나요?" 그러나, 대처질문은 그다지 한국적이지 않을 수 있다. 유교적 전통 때문에, 혹은 관계를 중시하는 아시아적 전통 때문에, 어떤 개인의 강점과 행동을 칭찬하는 것은 내담자로 하여금 약간의 불편함을 느끼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적인 칭찬법을 고민해 보아야 한다. 예컨대, "사회적 관계망"을 강조하면서, "그렇게 하는데 누가 도와 주었죠?" 라고 묻는다. (생략) ===== 방명록 링크(아직도 안 적으셨다면? 클릭!) https://empowering.tistory.com/guestbook 연락처 _ 휴대전화: 010-..
-
교도소의 말하기 클럽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사진+동영상 2020. 2. 1. 20:20
나는 말이 많은 사람이다. 왜? 어릴 적에 우리 집은 무척 가난했다. 아들에 집착하신 울 아버지께서 아들(바로 나)을 잘 가르쳐 보겠다고 무리해서 서울로 이사를 와서 빚이 많았다. 너무 가난해서, 우리 형제는 삶을 즐기는 법을 전혀 배울 수가 없었고, 그 어떤 것도 원할 수가 없었다. 부모님, 특히 어머니께서 사용하신 방법은, "아예 싹을 잘라 버리는 것"이었다. 즉, 아예 말을 꺼내지도 못하게 하셨다(돈 들어가는 것은 그 무엇도 원하지 못하게 만드셨다). 가끔씩 돈이 필요하다는 말을 할라치면, "아무 생각 없이 말하는 그 주둥아리를 조져버리겠다"고 말씀하면서 겁을 주셨다. 그래, 안다. 사실 어머니는 말하는 방법을 모르셨을 뿐, 나쁜 의도가 있지는 않으셨을 거다. (그러나! 제발... 여기까지만 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