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좌절하지 마시고 힘내세요
    지식 공유하기(기타)/슬기로운 의사생활 2020. 7. 13. 01:25
    728x90
    반응형

    <슬기로운 의사생할 제 7편, 제 12편 중에서>

     

    채송화(신경외과 교수): 마취과 선생님, 환자 깨워 주세요. 

    마취과 전문의: 네. 

     

    안치홍(신경외과 전공의): 경찰이 왜 되고 싶으셨어요? 

    김현수(환자): 꿈이요. 7살 때부터 꿈이요. 근데, 이렇게 수술해서 (앞으로는) 못해요. 

    안치홍: 저도 29살에 갑자기 아파서 군 관뒀어요(육사 출신 군인이었지만, 대위로 의가사 전역). (생략) 현수 씨도 수술 받으시고 회복 잘 하시면, 얼마든지~ 하고 싶은 일 다시 시작할 수 있어요. 

    김현수: 네... 감사합니다. 

     

    안치홍: (누군가를 발견하고 놀라며) 김현수 씨?

    김현수: (반가워하며) 선생님! 저, 선생님 기다리고 있었어요. (생략) 저, 다음 주... 경찰 복귀합니다. 선생님 덕에 다시 출근합니다. 

    안치홍: (감동해서 말을 제대로 잇지 못한다.)

    김현수: 선생님 가슴에 꽂혀 있는 많은 펜들 속에, 이 펜도 꼭 넣어 주세요. 일 하시다가 힘든 일 생기면, 이 펜 보고 힘내세요. 선생님 덕에 생명 구한 환자도 있으니까. 좌절하지 마시고. 힘내세요.


    전신 마취를 하고 머리를 연 상태에서 다시 잠깐 환자를 깨우는 쉽지 않은 수술을 받는 김현수 환자. 두뇌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서(즉 의학적인 목적으로) 전공의 안치홍 선생이 환자에게 질문을 한다. 직업이 뭐냐고 물었더니 경찰이란다. 7살때부터 꿈이란다. 그런데 다쳐서 다시는 복귀할 수 없게 되었단다. 7살 때부터 오매불망 하고 싶었던 일을 하게 된 젊은이가 그 일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얼마나 절망스러울꼬. 말을 제대로 잇지 못하던 안치홍 선생은 육사를 거쳐 군인으로 근무를 하다가 아파서 꿈을 접게 되었던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면서 환자에게 "다시 시작할 수 있다"고 응원을 한다. 

     

    그리고 몇 달 후... 신경외과 의국 앞에서 어떤 사람이 서성이고 있다. 안치홍 선생이 그를 발견하고 알아본다: 살기 위해서 꿈을 접어야 했던 김현수 환자. 너무 반가워하고 있는 안치홍 선생에게 좋은 소식을 전한다: "선생님, 저... 다음 주, 경찰 복귀합니다. 내근직이긴 하지만 복귀합니다. 다시는 못할 줄 알았는데..." 7살 때부터 꿈이었던 일에 다시 복귀한다는 그의 말을 듣고 안치홍 선생을 말을 잇지 못한다. 그리고 김현수 씨가 내어 놓은 단돈 2만원짜리 만년필을 손에 쥔다. 그리고 아마도 그의 의사 생활 중에 절대로 잊지 못할 감동적인 말을 듣는다: "일하시다가 힘든 일 생기면, 이 펜 보고 힘내세요. 선생님 덕에 생명 구한 환자도 있으니까. 좌절하지 마시고. 힘 내세요."


    심리치료자들은 늘 궁금했다. 내담자들의 변화에 우리가 얼마나 기여하는 걸까? 대규모로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했다. 적어도 70% 정도는 영향을 주지 않겠어? 라고 예상했다. 그런데 웬걸? 15%란다. 상담자가 사용하는 모델이나 테크닉 요인이 내담자의 변화에 딱 그 정도만 영향을 준단다. 그러면 뭐가 영향을 주는데? 15%는 플라시보(위약) 효과, 30%는 상담자-내담자 관계, 그리고 놀랍게도 40%는 전혀 상담과 관련이 없는 "우연 등을 포함하는 내담자 요인"이란다. 그러나 아직 놀랄 일이 더 남았다. 비교적 최근에 시행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상담자가 직접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요인은 더 적어서 딱 2%밖에 안된단다. 

     

    그렇다. 사회복지사를 포함하는 우리 원조전문가들은 "아주 쉽게" 우리가 뭔가를 하기 때문에 변화가 일어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과학적으로 연구해 보니, 그렇지가 않단다. 많아 봐야 15%, 적으면 2%란다. 하지만... 실망하기에는 이르다. 만약에 2%라고 하더라도 그 2%는 98%에 덧붙이는 평범한 2%일 수도 있지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2%일 수도 있지 않을까? 늘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럴 수도 있긴 하다. 

     

    나에게도, "선생님 덕에 인생이 바뀌었어요" 라고 말해 준 클라이언트가 있다. 무책임한 부모 밑에 자랐단다. 엄마는 남자 만나러 나가고, 아빠도 여자 만나러 나가고. 콩가루 집안이었단다. 그래서 5살 유아가 밤에도 훤하게 켜져 있던 불을 끄고 다녔단다. 그리고 길 가던 비 맞던 유기견을 여러 번 데려 왔단다. 집안을 어지르는 여동생과 갈등하다가 아내와도 싸우자 부부상담을 청했던 그는 자신을 홀대하고 낙인 찍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강점관점으로 완전히 반대편에서 그의 삶을 살펴 보자, 완전히 다른 이야기, 완전히 다른 정체성이 모습을 드러냈다: 

     

    한 마디로, 그는 케어하는 사람이었다. 책임지는 사람이었다. 5살 때 집안 불을 끄고 다녔단다. (마치 자기 같이 느껴졌을) 비 맞는 유기견을 데려왔단다. 여동생에게 잔소리를 하고 싸우는 것도, 여동생에게 애착이 강하고 여동생을 (부모처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다소 힘 조절이 되지 않을 뿐, 그는 책임감이 강하고 가족에게 애착이 강한 사람이었다. 

     

    마지막 회기에, 그는 이제는 좋게 헤어지니 기뻐서 싱글벙글 하고 있던 내 앞에서 아내 손을 붙잡고 아이처럼 펑펑 울었다. 아내는 남편의 사랑스러운 변화에 감동했고, 남편은 아내의 지지를 받게 된 상황에 감동했으며, 나는 놀라운 속도로 관계를 회복한 아름다운 두 사람을 보면서 감동했다. 두 사람은 수도꼭지를 틀면서 울었지만 나는 끝까지 싱글벙글 웃기만 했다. 

     

    내가... 이 두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모르겠다. 정말 모르겠다. 그래, 많으면 15%가 될 터이고, 적으면 2%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 그 영향의 양이 적어서 실망했을까? 아니다. 전혀 아니다. 나는 2%가 아니라 0.2%라고 해도 만족할 것이었다. 내가 원조 전문가인 이유는, 내가 무슨 권위를 휘두르기 위해서도 아니고, 결정적인 변화 요인이 되고 싶어서도 아니다. 그냥 사람들의 변화를 보고 싶기 때문이다. 그게 전부다. 그게 다다. 

     

    결국, 우리가 추구해야 할 바는... 겸손함과 유연한 태도이지, 자기 고집이나 권위주의가 아니다. 그리고 권위주의는 말로써 타파하는 것이 아니다. 안다고 파타할 수 있는 그런 게 아니다. 자기를 내려놓아야 가능하다. 내가 뭘 하니까 네가 이렇게 좋아지는 거야, 라는 생각을 아예 지워야 한다. 우리는 많아 봤자 15%, 적으면 딱 2% 해당되는 요인에 불과한, 그냥 옆에서 돕는 자에 불과하다. 주인공은 클라이언트 자신이다. 

     

    슬기로운 의사생활에서 배우는 원조전문가의 태도(목차)

    <슬기로운 의사생활>에서 배우는 원조전문가의 태도 1. 그럴 만한 이유 그럴 만한 이유 그럴 만한 이유가...? 요즘 새롭게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에서 매우 인상적인 �

    empowering.tistory.com


    "다만 그때 내 기다림의 자세를 생각하는 것뿐이다."

     

    '지식 공유하기(기타) > 슬기로운 의사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가 깨지다니? 너 그럼 죽어!  (2) 2020.07.24
    (아기) 입을 막으라고요?  (0) 2020.07.16
    처음 봤을 때부터요  (0) 2020.07.07
    똥이 너무 예뻐!  (0) 2020.07.04
    아, 아싸...  (6) 2020.06.3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