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읽으면서 배우는 두괄식 단락 쓰기 #002
    지식 공유하기(기타)/글쓰기 공부방 2022. 10. 9. 11:43
    728x90
    반응형


    “리더는 조직 안팎의 일을 많이 안다. 구성원은 잘 모른다, 그런데 리더는 일을 하지 않는다. 일을 지시하고 결과를 점검, 시정할 뿐이다. 착수하는 일은 구성원들이 한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일을 시작한다. 회사에선 사원·대리가, 청와대에선 주로 행정관들이 일을 한다. 아니 행정관도 안한다, 해당 부처에서 한다.” (강원국, 전 청와대 연설비서관)


    [제 1문장] 리더는 조직 안팎의 일을 많이 안다. 

    [제 2문장] 구성원은 잘 모른다, 

    [제 3문장] 그런데 리더는 일을 하지 않는다.

     

    제 1문장부터 제 3문장까지 세 문장을 합치면 소주제문이 된다. 말하자면, 이 단락에서는 원래 한 문장으로 되어 있던 소주제문(‘리더는 구성원은 모르는 조직 안팎 일을 많이 알지만 실무를 하지는 않는다’)을 짧은 세 문장으로 쪼갠 형태라고 말할 수 있겠다. 내가 이렇게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단락 맨 앞에 나온다고 해서 무조건 소주제문은 아니다. 둘째, 소주제문은 단락 전체 내용을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위 단락에서 중심 생각은 ‘리더는 많이 알지만 실무를 하지는 않는다’이다. 넷째, 위 세 문장은 각각 자신만으로는 위 단락 중심 생각을 포괄하지 못한다. 다섯째, 일반적으로 ‘그런데’ 혹은 ‘그러나’ 뒤편에 나오는 문장이 좀 더 중요한 문장이다. 하지만, ‘그런데’ 뒤에 나오는 제 3문장만으로는 단락 중심 생각을 충분히 포괄하지 못한다. 앞에 나오는 제 1문장과 제 2문장을 포함해야만 단락 중심 생각이 완성된다. 

    (배경지식) 소주제문이란 단락 수준에서 주제를 정리한 문장이다. 쉽게 말해서, 이 단락에서 글쓴이가 말하려는 핵심 생각을 문장으로 만든 것이다. (보통 글 전체 주제를 정리한 문장을 '주제문'이라고 칭하고, 단락 주제를 정리한 문장은 '소주제문'이라고 칭한다. '소주제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 곧 단락 수준에서 논한다는 뜻이다.) 

     


    [제 4문장] (리더는) 일을 지시하고 결과를 점검, 시정할 뿐이다. 

     

    이 문장은 첫 번째 뒷받침 문장이다. 이 문장은 소주제문(‘리더는 구성원은 모르는 조직 안팎 일을 많이 알지만 실무를 하지는 않는다’) 내용 중에서 ‘실무를 하지는 않는다’ 부분을 상세하게 뜻풀이 하고 있다. ‘(리더는) 실무를 하지는 않는다’고 쓰면, ‘그렇다면 리더는 무엇을 하는가?’라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 쓴 문장이라고 봐도 무방하겠다. 

     

    (배경지식) 뒷받침 문장은 단락에서 소주제문을 좀 더 상세하게 풀어주면서 말 그대로 뒷받침하는 문장이다. 일반적으로 뒷받침 문장은 소주제문보다 길이는 더 길고, 구체성이 좀 더 강하다. 소주제문을 읽고 뒷받침 문장을 읽으면 마음 속에 조금 더 선명한 그림이 그려진다. 글을 잘쓰는 사람은 소주제문 뒤에 뒷받침 문장을 차근차근, 적절한 갯수로(효율적으로), 덧붙인다. 

     


    [제 5문장] 착수하는 일은 구성원들이 한다. 

     

    이 문장은 두 번째 뒷받침 문장이다. 독자가 제 4문장을 읽고 나면, ‘그렇다면 실제 일은 누가 하는가?’ 혹은 ‘누가 실제로 일을 착수하는가?’ 질문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 쓴 문장이다. 

     

     

    [제 6문장]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일을 시작한다. 

     

    이 문장은 세 번째 뒷받침 문장이다. ‘리더는 잘 알지만 일(실무)은 안 하고, 직원들은 잘 모르지만 일을 한다’는 대비되는 내용 흐름을 반영한다. 제 5문장과 제 6문장을 합쳐도 될 듯 하다: ‘직원들은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일에 착수한다.’ 독자가 글을 쉽게 이해하라고, 필자가 일부러 문장을 짧게 잘랐다고 생각한다. 

     


    [제 7문장] 회사에선 사원·대리가, 청와대에선 주로 행정관들이 일을 한다. 

     

    이 문장은 네 번째 뒷받침 문장으로서, 사례를 제시하는 설명 전략이라고 볼 수 있겠다. 

     

    (배경지식) 실용적인 글 전개 방식은 네 가지로 나뉜다: 서사, 묘사, 설명, 논증. 이 중에서 설명은 독자가 어느 정도는 알고 있지만 깊고 풍부하게는 알지 못하는 대상에 대해서 언어적으로(說/말씀 설) 밝히는(明/밝을 명) 글이다. 그리고 설명 전략은 세 가지가 있다: (ㄱ) 뜻풀이: 앞 문장에 포함된 내용을 좀 더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해설하는 전략. (ㄴ) 합리화: 앞 문장에 관하여 원인을 제시하거나 결과를 제시하는 전략. (ㄷ) 사례 예시: 앞 문장 내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를 제시하는 전략. 

     


    [제 8문장] 아니 행정관도 안한다, 해당 부처에서 한다.  

    이 문장은 다섯 번째 뒷받침 문장이다. 청와대는 정부에서 리더 격에 해당하는 기관이므로, 청와대에서 일하는 말단 행정관도 구체적인 실무를 하지는 않고 전체적인 방향을 잡는 일을 한다는 뜻이다. 정부에서 말단 직원 격에 해당하는 기관은 해당 부처이므로, 청와대에서는 행정관도 일을 하지 않고, 각 부처에서 한다는 뜻이다. 


    <정리> 

    글감(소재): 리더십 
    소주제(핵심 생각): 리더는 구성원은 모르는 조직 안팎 일을 많이 알지만 실무를 하지는 않는다. 
    소주제문: 리더는 조직 안팎의 일을 많이 안다. 구성원은 잘 모른다, 그런데 리더는 일을 하지 않는다. 
    글 전개 방식: 설명
    설명 전략: 소주제문 + 뜻풀이 + 사례 제시


    <읽으면서 배우는 두괄식 단락 쓰기 #002>

     

    읽으면서 배우는 두괄식 단락 쓰기 #001

    "리더는 알려주는 사람이다. 모르는 사람을 아는 길로 이끌어준다.  그래서 리더는 알려줄 수 있어야 한다. 알려주는 것이 리더의 책무다.  왜 알려줘야 하는가. 이유는 간단하다. 잘 모르면 일

    empowering.tistory.com


    <50주 동안 이어질 강점관점실천 공부 자료 나눔 프로젝트>

     

    50주 동안 이어질 강점관점실천 공부 자료 나눔 프로젝트

    내가 가르친 뛰어난 사회사업가께서 들려 주신 이야기: "제가 돕는 청소년이 너무 기특한 행동을 하기에, 저나 제 동료들이나 아주 자연스럽게 물어보게 되었어요. '우와~ 너 어떻게 이렇게 한

    empowering.tistory.com


    "그대의 머릿결 같은 나무 아래로"

     

     

    <강의/자문/상담 문의는?>
    강점관점실천연구소 이재원
    (010-8773-3989 / jaewonrhie@gmail.com)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