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
-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03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 2021. 2. 24. 14:44
원문: Els Mattelin, Hannelore Volckaert, Elaine Cook(2017) 번역: 이재원(2021) 제 1부. 이론 제 1장. 우리가 자폐성 장애를 이해하는 방식 해결중심접근은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딱 맞는 접근이다! 우리는 매번, 그 어떤 내담자를 돕더라도, 해결중심접근을 적용하려고 애쓴다. 우리는 “알고 싶어하는(not-knowing) 태도”를 가지고 내담자를 만난다: 내담자에게 무엇이 가장 도움이 되는지 아는 사람은 우리 전문가 아니다(내담자 자신이다). 물론, 우리도 제안은 할 수 있겠다. 하지만 결국 그 제안이 도움이 되는지 아닌지, 혹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를 결정하는 사람은 내담자 본인이다. 해결중심접근에서는 내담자야말로 자신의 삶에 대해서 가장 잘 알고 ..
-
질문을 하지 않고서도 기적질문을 하는 방법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2. 21. 09:09
본 글에 사용한 사진, 글은 개별적으로 본인에게 검토받고 사용을 허락받았습니다. 해결중심모델을 요약하면 "내담자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도록 안내하는 질문을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해결중심모델은 구체적이고 정형화된 (질문) 기술이 전면에 나와 있는 "기술-기반 상담 모델"이다. 따라서 특정한 질문, 예컨대 "기적질문" 같은 기술을 구사해야만 "해결중심모델을 적용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은 해결중심모델에 대한 상식이다.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증거를 대겠다. 먼저, 사례를 읽어 주시라. 모 청소년 단기쉼터에서 일하는 사회사업가 동료가 쓴 글(이재원 사회사업가와 함께 6개월 이상, 꾸준히 해결중심모델을 학습했음): 작년 여름, (청소년 단기쉼터) 입소생 열정이와 (사례지..
-
유퀴즈에서 배우는, 평범한 듯 섬세한 질문 전략 #04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2. 17. 16:13
유재석과 조세호가 진행하는 친근한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 유재석과 조세호가 평범한 시민들을 만나서 토크를 나누는 장면을 보았다. 오늘의 주인공은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에 출연했던 안은진, 정문성 자기님. 토크 주제가 재미있다: "삐삐 호출이 온다면 어떤 연락이 왔으면 좋겠어요?" (늘 호출을 당해야 하는 의사들에게 삐삐는 추억의 물건이라기보다는 삶을 상징하는 도구다.) 안은진 자기님의 답변: "전화해서 여보세요, 하면..." "나와 놀자~ 이러면 놀러가고 이러면 좋을 것 같아요." 그러자 유재석이 질문한다: "어딜 가고 싶으세요? 친구분들하고." 안은진 자기님 답변: "일단 가까운 강원도부터..." "거기 생선구이 맛집이 있는데요..." 추임새 마술사, 유재석이 이어간다: "캬..
-
"이렇게 간단하게 해결될 줄 몰랐어요"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2. 15. 15:31
내가 즐겨 보는 완소 TV 프로그램, "무엇이든 물어보살." 오늘은 스물 두 살, (이)소영 양이 선녀보살(서장훈)과 동자보살(이수근)을 찾아 왔다. 그녀의 고민은: "스타일 때문에 남자로 오해를 많이 받아요." 본인은 나름대로 고민이 많았나 보다. PC방에서 여자화장실에 들어갔는데, 누가 신고를 했단다. 그래서 경찰서까지 가서 형사 앞에 앉아 수사를 받기까지 했단다. 그렇다면, 소영 양이 남자처럼(혹은 편안한 복장을) 하고 다닌 이유는? 어릴 때부터 오랫동안 운동을 좋아하고 선수로도 활동하느라 아무 때나 "츄리닝(운동복)"만 입고 다녔단다. (그냥 편하고 좋단다.) 그런데 고민 쭉~ 내용을 들으신 후 선녀보살님 한 말씀 하신다: "내 눈엔 여자로 보이는데?" 그리고... 오늘도 주특기인 "팩폭" 과감하..
-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02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 2021. 2. 9. 06:10
원문: Els Mattelin, Hannelore Volckaert, Elaine Cook(2017) 번역: 이재원(2021) 제 1부. 이론 제 1장. 우리가 자폐성 장애를 이해하는 방식 자폐적 사고는 또 하나의 문화다 자폐성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세상을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자신이 보고 경험하는 내용에 독특한 의미를 부여한다. 그 결과, 이들은 우리가 보기에 “이상하거나” 낯선 방식으로 행동하게 된다. 현실에 대한 인식, 그 인식에 의미를 부여한 결과물, 그리고 이어지는 행동 사이에 놓인 관계는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사람들은 모든 감각을 활용해서 현실을 인식한다. 현실을 인식하는 동안, 두뇌는 감각 자극을 처리한다. 그 결과로 의미가 부여된다. 우리는 개인 성격, 역사..
-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01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 2021. 2. 6. 08:42
원문: Els Mattelin, Hannelore Volckaert, Elaine Cook(2017) 번역: 이재원(2021) 제 1부. 이론 제 1장. 우리가 자폐성 장애를 이해하는 방식 우리는, 자폐성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도운 경험과 많은 연구 결과를 기초로, 자폐성 장애 그 자체와 자폐성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차이에 관하여 포괄적인 이해 틀을 구축해 왔다. 그 결과, 우리는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과 그 가족에게 “마침내 우리를 이해하는 사람들을 만나서, 편안한 마음으로 대화할 수 있었다”는 말을 자주 듣게 되었다. 상담자는 당연히 내담자를 이해하는 사람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내담자가 자폐성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인 경우, 이 당연한 일이 당연하지 않을 때가 많다. 심리치료사..
-
네? 발달장애인에게는 해결중심모델을 적용할 수 없다고요?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 2021. 2. 6. 08:03
해결중심모델을 가르치다 보면, 이런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뭔가를 배울 기회가 있다고 해서 왔습니다만, 제가 하는 업무와는 별로 상관이 없는 것 같네요. 왜냐하면, 저는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일하고 있거든요. 지금 여기에서는 주로 질문법을 배우고 있는데, 중증장애인에게는 질문을 할 수가 없답니다." 혹은,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도 있다: "이거, 약간 인지 기능이 낮은 분들에게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예컨대, 어르신 분들이나, 발달장애인(지적, 자폐성 장애를 가진 분들)에게요. 이런 분들에게는 말 자체가 안통하거든요. 그래서 고민이 되네요." 지금까지는 나도 난감했다. 네트워크 안에서 관계 때문에, 혹은 자리 때문에 교육장에 (끌려?) 와서 의자에 등을 기대서 눕듯이 앉아 있는, 전혀 동기부여가 안..
-
"꼭 특정한 질문을 구사해야만 해결중심적 실천인가요?" (아뇨!!!)지식 공유하기(해결중심모델)/해결중심 고급 테크닉 2021. 1. 30. 09:58
해결중심모델, 하면 뭐가 떠오르는가? 기적질문? 척도질문? 그렇다. 굉장히 낯설고 어색하게 느껴지는, 정형화된 질문 테크닉이 생각난다. 그래서 책에 씌여 있지도 않고, 선생이 그렇게 가르치지도 않지만, "제가(우리가) 해결중심모델을 적용해 보았어요" 라고 말을 하려면, 왠지 낯설고 어색한 질문을 적용해야만 할 것 같다. 서두에 던져 놓은 질문에 답을 해 본다: 내 답은, "아니오"이다. 해결중심모델은 원래 가족치료, 즉 상담 분야에서 개발되었다. 상담이란 일상 생활 공간이 아니라, "상담실"이라는 낯선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그래서 상담 장면에서는 해결중심 질문이 다소 낯설거나 어색하게 느껴져도 이해해 줄 만하다. 하지만 제너럴리스트 사회사업 분야(예컨대, 복지관 세팅, 특히 사례관리 업무)에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