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
무슨 쪽집게 과외를 받는 느낌입니다!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1. 4. 7. 13:10
"내가 왜 이 학습 네트워크("포밀")에 참여한 거지?" 2019년 3월부터 해결중심모델 강의를 시작한 후, 만 2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그동안 중요한 때마다 좋은 선배를 만나면서 내 세계가 확장되었다: 양원석 선배님과 함께 글을 쓰고 공부하면서 처음 세상에 알려졌다. 정병오 선배님과 휴먼 임팩을 만나면서 선생이 되었다. 정현경 선배님을 만나면서 열정에 더욱 불을 붙였다. 그동안 여기 저기 불려 다니면서 강의를 하면서 언제나 참말로 열심히 임했지만, 내가 얼마나 현장에 임팩을 주고 있는 것인지 충분히 감이 오지는 않았다. 그래서 최근에는 당일치기 1회성 교육은 가급적 지양하고 (집중 교육을 포함하는) 중/장기적인 자문 업무에 집중하고 있다. 이런 저런 공부 모임 중에서도 "해결중심모델 사례지원 학습네트..
-
관악구장애인복지관 사례옹호팀 동료들이 만난 칼 로저스 할배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1. 3. 23. 16:03
이 글에 인용한 동료들의 사진 등은 사전에 본인에게 검토를 받고 사용 허락을 받았습니다. 지난 해 12월에 처음 만나서 함께 중/장기적으로 해결중심모델을 함께 공부해 오는 팀이 있다: 관악구장애인종합복지관 사례옹호팀 동료들(팀장: 온지혜 사회사업가).해결중심모델 스터디를 시작하기 전에 이분들에게 칼 로저스의 3대 개념(공감/수용/진정성)과 이를 상담 테크닉에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를 가르쳤다. (해결중심모델을 포함해서) 그 어떤 모델이라도 적용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이용인/주민/참여자)가 느끼는 정서적 어려움을 정확하게 공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강의 내용을 듣고, 동료들께서 피드백을 주셨다. 참고로, 해결중심모델에는 "해결-중심 대화 vs 문제-중심 대화"라는 다소 극단적인 이분법이 존재하기 때문..
-
-
"씹어먹겠습니다, 아자!"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1. 2. 21. 09:37
본 글에 사용한 사진, 글은 개별적으로 본인에게 검토받고 사용을 허락받았습니다. 당진북부사회복지관 동료들과 온라인 간담회에서 만났다. 정식으로 출근을 시작한지 일 주일 밖에 안되는 새내기 사회복지사부터 지역에서 잔뼈가 굵으신 선임 사회복지사까지 한 명씩 호명하며 대화를 나누었다. 이분들에게 여쭙고 싶었던 세 가지 질문: (1) 각자 무슨 일을 하시는지, (2) 어떤 사회사업 철학과 태도를 가지고 현장에서 실천하고 계시는지, (3) 해결중심모델에 대해서 얼만큼 이해하고 계시는지. 이재욱 선생님: "막내로서 이번 스터디에 열심히 참여하려고 합니다." 이재원 피드백: 패기가 있어 보여서 좋습니다. 열심히 임해 주세요. 김동하 선생님: "제가 청소년 사업 담당인데, 스터디를 통해서 상담 기술을 열심히 배워서 지..
-
관악구장애인종합복지관 동료들과 프로이트를 논하다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1. 2. 18. 09:49
본 글에 사용한 사진과 캡쳐물은 당사자 분들께 동의를 구하고 사용 허락을 받았습니다. 어제 저녁/밤(늦은 6시~8시)에 "젊은 그대," 관악구장복 동료들과 만났다(전체 교육 첫 번째 시간): "저도 장애인 복지관에서 일해 본 적이 있거든요. 그래서 우리 동료 여러분의 마음을, 제가 잘 압니다. 즐거운 퇴근 시간에 이렇게 꼼짝없이 붙잡혀서 해결중심상담 뭐시기를 들으셔야 하는 마음을요(농담!). 제가 보통은 교육 첫 시간에 해결중심모델의 개발 역사를 쭉 다루는데요~ 여러분의 마음을 곰곰 생각해 보니, 제가 오늘 여기에서 그 내용을 낱낱이 다루는 건 도움이 안되겠다 싶었습니다. 그래서 역사 부분은 조금 간략하게 줄이고, 오늘 주제와 관련된 이런 저런 이야기를 자유롭게 언급하면서 시작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프..
-
당진북부사회복지관 동료들과 함께 하는 해결중심모델 공부!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1. 2. 3. 18:54
"공동체 꿈을 위해 특별한 재미를 추구하는 복지관" 2021년 1월 어느 날, "당진하고도 북부사회복지관" 안수경 과장님께서 전화를 주셨다. 사례관리 업무를 맡고 계신 동료 분들과 지역복지 업무를 맡고 계신 동료 분들께서 "제대로 마음 먹고" 해결중심모델을 공부해 보고 싶으시단다. 반가운 마음에 대화를 나누었고, 줌으로 온라인 미팅을 하자고 말하고 전화를 끊었다. 과장님의 카톡 프사를 살펴 보았다. 저런 단체 사진이 나왔다. 느낌이 참 좋았다. 그리고 복지관 홈페이지를 찾아봤다. 복지관 명칭 위에 씌여진 "공동체 꿈을 위해 특별한 재미를 추구하는 복지관"이라는 별칭(?) 혹은 어구가 눈에 와서 콱 박힌다. 단체 사진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문구라는 느낌이 들었다. 적어도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 복지관인지 전..
-
외국어(중국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러시아어)로 해결중심질문을 읊다!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1. 1. 8. 11:23
최근에 전북이주여성지킴이상담소(소장: 김동준)에서 일하고 계신 실무자 선생님과 함께 해결중심모델을 공부했다. 이 상담소에서는 한국에서 출생한 세 분의 실무자(밝은 웃음이 인상적인 정미선 선생님, 안정적이고 차분한 말투가 돋보이는 김민아 선생님, 밝고 명랑한 기운을 내뿜으시는 김동준 소장님)와 외국에서 이주해 오신 네 분의 실무자(중국 동포로서 만두 만들기가 특기이신 김태옥 선생님, 늘 환한 웃음이 얼굴에서 떠나지 않는 김로즈 선생님, 편안한 미소와 뛰어난 한국어 실력이 인상적인 이제니 선생님, 매우 공손하고 진솔한 태도를 가지신 임성은 선생님)께서 일하신다. 이틀 동안 12시간에 걸쳐서 해결중심모델을 함께 공부했는데, 이분들께서 보여주신 "배우려는 열망" 덕분에 마음 깊이 감동을 느꼈다: 내가 하는 말 ..
-
복지관 사회복지사가 동료들과 함께 만든 사례관리 양식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12. 30. 09:05
해결중심모델은 대표적인 강점관점실천 상담 모델입니다. 강점관점으로 클라이언트를 도울 때 필연적으로 대화를 나누어야 하므로(상담을 해야 하므로), 상담 방법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해결중심모델은 가장 강력한 강점관점 상담 방법론입니다. 강점관점 사회사업 실천을 처음으로 학문적으로 체계화한 데니스 샐리비 박사의 책을 읽어봐도 상담 방법론 파트의 중추는 해결중심모델입니다. 그래서 누구든지 강점관점으로 실천하려고 한다면, 해결중심모델의 영향을 피해갈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해결중심모델은 그 자체로는 상담 모델이지, 사례관리모델은 아닙니다. 사례관리는 상담이 아닙니다. 상담을 포함하고 있지만 상담보다 훨씬 큰 개념입니다. 그래서 사회사업가가 사례관리를 하려면 상담 방법론 외에도 다양한 기술과 능력, 그리고 유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