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공유하기(기타)/사회복지사를 위한 Self-care(한사협)
-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 A부터 Z까지: 감사(Gratitude)지식 공유하기(기타)/사회복지사를 위한 Self-care(한사협) 2020. 6. 24. 13:43
한국사회복지사협회와 함께 하는, 원서 번역 프로젝트!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Self-care), A부터 Z까지" (2020년 7월호 원고를 공유합니다.) G(Gratitude): 감사 - 고마워 하는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기 원문: Tammy L. Quetot 번역: 이재원(2020) 나는 군 사회복지사로서, 상처받은 군인의 가족을 상담하는 특권을 누리고 있다. 나는 매일마다 죽음, 절망, 그리고 실망의 사연을 만난다. 물론, 용기, 희망, 회복의 이야기도 듣는다. 그래서 자기-돌봄(self-cae)이 건강하고 균형잡힌 삶의 필수 요소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길을 걷다 보면 Along the way 약 1년 전, 나는 내가 마치 초보 등반가처럼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식량은 떨어졌..
-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 A부터 Z까지: 운동(Exercise)지식 공유하기(기타)/사회복지사를 위한 Self-care(한사협) 2020. 6. 1. 17:41
한국사회복지사협회와 함께 하는, 원서 번역 프로젝트!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Self-care), A부터 Z까지" (2020년 소셜 워커, 5월호 원고를 공유합니다.) E(Exercise): 운동, 무적의 사총사 원문: Elena Winburn 번역: 이재원(2020) 생활하다가 너무나 스트레스를 받아서 그냥 커튼을 치고 침대에 누워 있고 싶은 기분이 들었을 때가 있는가? 나는 그런 적이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우리는 신체와 정신 양면에서 영향을 받는다. 그러면 생산성이 낮아질 수 있고 밝은 기운이 사라질 수 있다. 아울러, 비판적인 사고 기술이 손상되고 얼굴에서 웃음기가 사라질 수도 있다. 스트레스가 우리 삶과 행동을 지배할 필요는 없으며, 스트레스를 지배하기 위해서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수 ..
-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 A부터 Z까지: 두려움(Fear)지식 공유하기(기타)/사회복지사를 위한 Self-care(한사협) 2020. 6. 1. 07:30
한국사회복지사협회와 함께 하는, 원서 번역 프로젝트!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Self-care), A부터 Z까지" (2020년 소셜 워커, 6월호 원고를 공유합니다.) F(Fear): 두려움 원문: Tabitha DeLeon 번역: 이재원(2020) 우리가 마음 깊은 곳에서 느끼는 가장 커다란 두려움은 우리가 부족하다는 사실이 아니라, 우리에게 도저히 측정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능력이 있다는 사실이다. 가장 두려운 것은 우리의 어둠이 아니라 빛이다. _ 마리안 윌리엄슨, “사랑의 기적(Return to love)” 중에서 이 대목은 마리안느 윌리엄슨(1992)이 쓴 “가장 커다란 두려움”이라고 이름 붙여진 시에서 따 왔는데, 이 시는 우리가 느끼는 두려움의 본질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 A부터 Z까지: 전인전 영양섭취(Diet)지식 공유하기(기타)/사회복지사를 위한 Self-care(한사협) 2020. 3. 30. 15:55
한국사회복지사협회와 함께 하는, 원서 번역 프로젝트!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Self-care), A부터 Z까지" (2020년 소셜 워커, 4월호 원고를 공유합니다.) A: Awareness (https://vo.la/eQRo) B: Balance (https://vo.la/m3v7) C: Connection (https://vo.la/tHZG) ===== D(Diet): 전인적 영양 섭취 자신의 신체, 정신, 영혼의 양식으로 무엇을 섭취하고 있나요? 원문: Amee Ramsey 번역: 이재원(2020) 사회복지사는 타인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사람이다. 남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려면, 자신에게도 에너지를 공급해야 한다. 자신의 신체, 정신, 영혼에 각각 적절한 영양을 섭취해야 한다. 자기-돌봄은 유기..
-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 A부터 Z까지: 관계맺기(Connection)지식 공유하기(기타)/사회복지사를 위한 Self-care(한사협) 2020. 3. 3. 17:24
한국사회복지사협회와 함께 하는, 원서 번역 프로젝트!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Self-care), A부터 Z까지" (2020년 소셜 워커, 3월호 원고를 공유합니다.) A: Awareness (https://vo.la/eQRo) B: Balance (https://vo.la/m3v7) ===== C(Connection): 관계 맺기 원문: Sean Hogan 번역: 이재원(2020) 세상 만물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당신도 많은 사람/대상과 연결되어 있다. 당신이, 언제, 어디에서, 누구와, 어떻게, 왜 연결되어 있는지를 돌아보면서, 관계 속에서 당신의 위치와 정체성을 확인해 보라. 나는 “관계 맺기(connection)”라는 단어를 보면 저절로 공감이 되는데, 2010년에 알콜 남용과 중독에서 ..
-
사회복지사 Self-Care: A부터 Z까지(목차)지식 공유하기(기타)/사회복지사를 위한 Self-care(한사협) 2020. 2. 9. 12:35
한국사회복지사협회와 함께 하는 번역 프로젝트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 A부터 Z까지. 본 프로젝트는 미국에서 발간되어 사회복지계에서 적지 않은 관심과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서적,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Self-Care): A부터 Z까지"를 제가 약 2년 동안 매월 한 절씩 번역한 후, 모든 번역이 끝나면 단행본으로 묶어서 출판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본 원고는 매월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보인 "소셜 워커"에 소개되고 있습니다.) A(Awareness): 자기 인식 사회복지사의 Self-care A부터 Z까지: Awareness 자기 인식(Awareness) 원문: Eileen Krueger 번역: 이재원(2019) 변화는 자기 인식 없이 오지 않는다. 어떤 경우든 성장을 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
-
사회복지사를 위한 자기-돌봄, A부터 Z까지: 균형(Balance)지식 공유하기(기타)/사회복지사를 위한 Self-care(한사협) 2020. 2. 1. 06:49
균형(Balance): 의도적으로, 삶의 목적을 감안하며 살아가기로 결심하기 원문: Denisa Hobbs 번역: 이재원(2020) 균형에도 절제가 필요하다: 생활 속에서 처리 해야 할 많은 일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일은 필요하다. 하지만 어느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고 하는 완벽주의는 비현실적이다. 우리가 가진 에너지는 한계가 있다. 내가 현실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일의 규모, 갯수를 선택해야 한다. 그 일들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면 된다. 우리가 인생이라고 부르는 이 바쁘디 바쁜 전쟁터 속에서, 균형을 잡는 일은 불가능에 가까워 보인다. Clemans(2008)은 균형(Balance)을 자기-돌봄(Self-care)에서 가장 기본적인 3요소 중 하나로 꼽았다. 나는 직업, 가정, 그리고 학업 사이에서 균형..
-
친절한 금자씨지식 공유하기(기타)/사회복지사를 위한 Self-care(한사협) 2020. 1. 20. 17:26
오늘 무슨 일로 동료 사회복지사와 통화를 했다. 그리 잘 아는 사이는 아니다. 그렇지만 정말 친절한 분인 것 같았다: 목소리와 웃음이 거의 하나가 되어 있다. 이분과 통화한 후에 동료들의 친절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었다. 각종 콜센터 직원들의 "감정노동"에 대해서 이슈화가 종종 되어 왔고, 요즘엔 어디든 전화를 걸면 통화 내용을 녹음한다고 ARS 안내가 흘러 나온다. 그런데 사회복지사들이야말로 보호 장치가 필요한 사람들 아닐까? 아침부터 저녁까지는 직장에서, 주민분들/이용자분들을 위해서 감정 노동을 해야 하고, 저녁에 (퇴근이 아니라 집으로) 출근하면 그 다음 날 아침까지 아이들 챙기랴, 배우자 챙기랴, 끝없이 감정 노동을 해야 한다. 최근에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보, Social Worker지에 미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