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공부방
-
당진북부사회복지관 동료들과 함께 하는 해결중심모델 공부!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1. 2. 3. 18:54
"공동체 꿈을 위해 특별한 재미를 추구하는 복지관" 2021년 1월 어느 날, "당진하고도 북부사회복지관" 안수경 과장님께서 전화를 주셨다. 사례관리 업무를 맡고 계신 동료 분들과 지역복지 업무를 맡고 계신 동료 분들께서 "제대로 마음 먹고" 해결중심모델을 공부해 보고 싶으시단다. 반가운 마음에 대화를 나누었고, 줌으로 온라인 미팅을 하자고 말하고 전화를 끊었다. 과장님의 카톡 프사를 살펴 보았다. 저런 단체 사진이 나왔다. 느낌이 참 좋았다. 그리고 복지관 홈페이지를 찾아봤다. 복지관 명칭 위에 씌여진 "공동체 꿈을 위해 특별한 재미를 추구하는 복지관"이라는 별칭(?) 혹은 어구가 눈에 와서 콱 박힌다. 단체 사진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문구라는 느낌이 들었다. 적어도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 복지관인지 전..
-
외국어(중국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러시아어)로 해결중심질문을 읊다!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1. 1. 8. 11:23
최근에 전북이주여성지킴이상담소(소장: 김동준)에서 일하고 계신 실무자 선생님과 함께 해결중심모델을 공부했다. 이 상담소에서는 한국에서 출생한 세 분의 실무자(밝은 웃음이 인상적인 정미선 선생님, 안정적이고 차분한 말투가 돋보이는 김민아 선생님, 밝고 명랑한 기운을 내뿜으시는 김동준 소장님)와 외국에서 이주해 오신 네 분의 실무자(중국 동포로서 만두 만들기가 특기이신 김태옥 선생님, 늘 환한 웃음이 얼굴에서 떠나지 않는 김로즈 선생님, 편안한 미소와 뛰어난 한국어 실력이 인상적인 이제니 선생님, 매우 공손하고 진솔한 태도를 가지신 임성은 선생님)께서 일하신다. 이틀 동안 12시간에 걸쳐서 해결중심모델을 함께 공부했는데, 이분들께서 보여주신 "배우려는 열망" 덕분에 마음 깊이 감동을 느꼈다: 내가 하는 말 ..
-
복지관 사회복지사가 동료들과 함께 만든 사례관리 양식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12. 30. 09:05
해결중심모델은 대표적인 강점관점실천 상담 모델입니다. 강점관점으로 클라이언트를 도울 때 필연적으로 대화를 나누어야 하므로(상담을 해야 하므로), 상담 방법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해결중심모델은 가장 강력한 강점관점 상담 방법론입니다. 강점관점 사회사업 실천을 처음으로 학문적으로 체계화한 데니스 샐리비 박사의 책을 읽어봐도 상담 방법론 파트의 중추는 해결중심모델입니다. 그래서 누구든지 강점관점으로 실천하려고 한다면, 해결중심모델의 영향을 피해갈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해결중심모델은 그 자체로는 상담 모델이지, 사례관리모델은 아닙니다. 사례관리는 상담이 아닙니다. 상담을 포함하고 있지만 상담보다 훨씬 큰 개념입니다. 그래서 사회사업가가 사례관리를 하려면 상담 방법론 외에도 다양한 기술과 능력, 그리고 유연성..
-
최고의 크리스마스 선물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12. 25. 07:20
사랑하는 아내와 함께 미역국을 먹으러 갔다. (아내가 미역국 정식을 무척 좋아한다.) 고슬고슬한 쌀밥에 노릇한 고등어 구이, 아삭아삭한 김치에 구수한 미역국. 정말 끝내주는 맛이었다. 머리를 국그릇에 박고 한참 즐기고 있는데... 갑자기 카톡 메시지가 날아든다. "띵동~!" 열어보니, 편지(?)다. (아니, 원래는 소감문인데 사연이 길어져서 편지가 된 글이었다.) 글쓴이는 평소 내가 사랑하는 학생 중 한 분이신 "김혜숙 화성여자단기청소년쉼터" 소장님이셨다: "해결중심상담 교육을 마치며" 라는 제목으로 시작하는 이 편지에는 소장님께서 지난 6개월 동안 나에게 해결중심모델을 배우시면서 경험하셨던 변화가 곱게 정리되어 있었다. 아내와도 나누고 싶어서 읽어 주겠노라고 했다. 그리고 한 줄 한 줄 읽어 나가는데...
-
젊은 그대! (관악구장애인종합복지관 사례옹호팀)상담 공부방/해결중심 사례관리 자문 2020. 12. 23. 18:39
"몇 년째, 당사자 중심으로 사례관리를 해 보자고 다짐하고 노력했지만 어렵더라구요." 관악구장애인복지관 사례옹호팀의 온지혜 팀장님께서 전화를 주셨다.휴먼 임팩트 협동조합 홈페이지에서 절찬리에(?) 제공 중인 해결중심모델 강의를 들으셨단다(vo.la/4AHB9). 내가 강의한 내용이 평소 생각해 오던 방향과 맞다고 생각하셨단다. 수박 겉핥기식 1회성 교육은 지양하고, 중/장기적인 교육/자문 서비스를 받아야겠다고 결심하셨단다. "저부터도 열심히 교육을 받아보고 직원들도 교육을 보내 보았지만, 늘 그때 뿐이었어요." 많은 사회사업가 동료들이 강점관점으로 실천하고 싶어서 해결중심모델을 배운다. 하지만 이를 실제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왜? 내가 보기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오랫동..
-
해결중심 사례관리 자문: 성민종합사회복지관(#5)상담 공부방/해결중심 사례관리 자문 2020. 12. 18. 16:28
2020년 2월, 관악구에 위치한 성민종합사회복지관(통합연계팀) 동료들을 만나 처음으로 사회복지 기관 자문을 시작했다.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해결중심모델 교육에서 선생님들 일부를 만났는데, (내 강의를 좋게 느끼셨던지) 교육이 끝난 후에 개별적으로 자문 요청 연락이 왔다. 해결중심모델 자문 시작! 2020년 2월 24일, 11~14시. 성민종합사회복지관 통합연계팀의 해결중심상담 기법 스터디에 공식적인 자문 역할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동료 선생님들께서 책을 읽고 해결중심 모델을 현장에서 적용 empowering.tistory.com 어느덧 시간이 흘러서 12월이 되었고, 올해의 마지막(다섯 번째) 자문 컨퍼런스를 온라인으로 열었다. 반갑게도, 이번에는 육아휴직에서 돌아오신 이현정 팀장님까지 합류하셔서 분위기..
-
하계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팀 (해결중심모델) 교육 및 자문!상담 공부방/해결중심 사례관리 자문 2020. 12. 14. 15:16
2020년 12월 10일 ~ 11일, 양일 간에 걸쳐서 (서울시) 하계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팀과 함께 고급진(?!) 해결중심모델 테크닉을 공부하고 선생님들께서 미리 보내 주신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서 자문을 드리는 시간을 가졌다. 동 복지관 사례관리팀 이지현 선생님께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교육을 통해서 나를 알고 계시다가 교육 및 자문을 요청해 오신 건이었다. 내가 만난 하계복지관 사례관리팀(왼쪽부터): 막내 한준희 선생님, 이지현 선생님, 오윤하 팀장님, 조성일 선생님, 김유담 선생님. 전체적으로 밝고 명랑하면서도 침착한 기운이 공존하는, 흥미로운 팀이었다. (참고: 해당 동료 선생님들께 글과 사진을 미리 보여 드리고 사용 허락을 받았음을 밝힙니다.) 너무나도 심각해진 코로나 사태 때문에 우리는 비대면 온..
-
"좋은 질문이 좋은 삶을 만든다" (김소희 作)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11. 19. 21:42
"앞으로 평생 일 열심히 하지 말고 사세요." 약 1년 전 퇴사한 후, 병원을 찾은 저에게 의사 선생님께서 농담을 섞어서 하신 말씀입니다. 누가 들으면 "네가 뭘 얼마나 열심히 했길래?" 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저는 아니었습니다. 끝내 버티지 못하고 일을 그만 두긴 했지만, 몸이 여기 저기 망가지고 아플 정도로 열심히 살아온 저 자신이 자랑스러웠습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로서 최선을 다한 제 삶에 커다란 훈장이라도 받은 기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어쨌든 제 몸은 골병이 들어 있었습니다. 업무 특성상 몸을 많이 사용해야 했는데, 지나치게 열정적이었던 탓에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을 갖게 되었던 겁니다. 잔인한 통증은 쉼을 선택한 제 마음을 한없이 우울하고 무기력하게 만들어 갔습니다. 의사 선생님께서 처방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