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공부방
-
경남 동료들과 함께 한 "공감, 수용, 진정성" 수업 #2상담 공부방/공감, 수용, 진정성 강의 후기 2020. 10. 5. 15:46
2020년 9월 28일(월) 오전 9시 30분 ~ 12시 30분, 지역아동센터경상남도지원단 주최로 열린 두 번째 교육에서 칼 로저스의 3가지 핵심 개념(공감, 수용, 진정성)을 공부해 보았다. 본 교육에서 함께 해 주시는 분들은, 코로나 사태 속에서 엄청나게 커진 역할/부담감 속에서도 아이들과 세상을 포기하지 않고 끝끝내 자리를 지키고 계신 지역아동센터 동료분들이시다. (이분들의 노고에 경의를 표한다.) 내 수업에 관해서 피드백을 주신 분들에게 다시 한 번 더 감사하며, 나도 최선을 다해서 피드백을 달아본다. 1. 선생님들의 피드백과 나의 응답 (1) "코로나로 힘든 시점, 나를 다시 한 번 생각해봐서 좋았습니다." _ 아! 선생님, 저도 매번 강의하면서 저 자신을 돌아보고 있습니다. 솔직한 피드백, 감..
-
전남을 싹쓰리 하다?! (마지막 이야기)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9. 28. 16:27
2020년 9월 25일, 금요일 10시~17시. 전라남도사회복지사협회에서 줌(Zoom)으로 해결중심상담 기본 강의(사회복지사 직무역량 교육)를 진행했다. 9월 15일, 17일 교육에 이어, 마지막 시간! 강점관점실천의 꽃인 해결중심모델을 배우려는 전라남도 동료들의 열기가 하늘을 찔렀다! 1. 교육에 참여해 주신 전남사협 동료 사회복지사의 피드백과 나의 답변. (1) "유익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_ 아무리 좋은 강의라도,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면 의미가 적을 거라고 믿습니다. 짧지만, 영양가 있는 피드백, 감사합니다. 현장에서 고생 중이신 우리 동료들에게 더욱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 "예시를 들어 주어 좋았음." _ 제 의도를 잘 파악해 주셨군요? 앞으로 좀 더 ..
-
경남 동료들과 함께 한 "공감, 수용, 진정성" 수업 #1상담 공부방/공감, 수용, 진정성 강의 후기 2020. 9. 22. 06:39
2020년 9월 21일(월) 오전 9시 30분 ~ 12시 30분, 지역아동센터경상남도지원단 주최로 열린 교육에서 칼 로저스의 3가지 핵심 개념(공감, 수용, 진정성)을 공부해 보았다. 앞으로 3회 더 진행될 이번 교육에서 함께 하시는 분들은, 코로나 사태로 인해 본의 아니게 그 역할이 커진(혹은 부담이 커진) 지역아동센터에서 일하시는 동료분들이다. 안그래도 힘든 상황에서 더욱 힘든 상황이 되었지만, 아이들을 포기하지 않고 끝끝내 자리를 지키고 계신 동료분들께 마음으로 경의를 표한다. 1. 선생님들의 피드백과 나의 응답 (1) "알기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해 주신 부분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_ 역시, 현장에 계신 선생님들에게는 구체적인 사례를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정답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
전남을 싹쓰리 하다?! (두 번째 이야기)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9. 17. 18:55
2020년 9월 17일, 10시~17시. 전라남도사회복지사협회에서 줌(Zoom)으로 해결중심상담 기본 강의(사회복지사 직무역량 교육)를 진행했다. 9월 15일 교육에 이어, 두 번째 시간! 강점관점실천의 꽃인 해결중심모델을 배우려는 전라남도 동료들의 열기가 하늘을 찔렀다! 1. 교육에 참여해 주신 전남사협 동료 사회복지사의 피드백과 나의 답변. (1) "대상자와 상담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내용을 배운 것 같습니다." _ 해결중심모델은 어려운 이론에서 출발한 모델이 아니라, 실천가들(임상 사회복지사)이 실천 현장에서 내담자들과 함께 치열하게 고민하면서 만들어진 모델입니다. 그래서 애초부터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훌륭한 모델입니다.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현장에서 전체적으로든 부분적으로든 열심..
-
전남을 싹쓰리 하다?!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9. 16. 07:26
2020년 9월 15일, 10시~17시. 전라남도사회복지사협회에서 줌(Zoom)으로 해결중심상담 기본 강의(사회복지사 직무역량 교육)를 진행했다. 1. 교육에 참여해 주신 전남사협 동료 사회복지사의 피드백과 나의 답변. (1) "사례를 통한 교육(이어서 좋았습니다.)" _ 작년에 전국 각지에서 실제적인 사례 없이 교육을 진행했을 때, 우리 동료들이 많이 답답해 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목포에서 교육했을 때도 마찬가지였죠. 1년이 훌쩍 지났고 그 사이에 여러 방식으로 사례를 만들고 정리해 왔는데, 이렇게 알아 주시니 참으로 감사합니다. (2) "해결중심상담 기법에 대해 자세하고 쉽게 설명해 주셔서 현장 응용이 가능하다 생각됩니다." _ "현장 응용이 가능하다 생각됩니다": 제가 제일로 듣고 싶어했던 피드백..
-
해결중심 접근이 어렵지 않으면서도 어려운 것 같습니다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8. 28. 09:19
강점관점실천, 그 중에서도 해결중심모델은 여전히 대세이다. 예컨대, 시대적 조류인 “커뮤니티 케어"를 하려면 주민들의 강점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강점관점실천으로 접근해야만 하는데, 강점관점실천에서 대면 상담 테크닉을 논하게 되면 결국은 해결중심 질문 테크닉을 인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해결중심모델을 배우고 적용하려고 하면 왜 이렇게 힘든 것일까? 다시 말해서, 어째서 이 모델을 배우는 우리 동료들이 "해결중심 접근은 어렵지 않으면서도 어려운 것 같습니다" 라고 말하게 되는 걸까? 내가 생각하기에는 세 가지 이유가 있다: (1) 강점관점을 체화하는 일은 무척 낯설고 어려운 일이다. 평소에 우리는 이성적인 사고를 하면서 생활한다. 이성적인 사고의 핵심은 비판 기능이다. 여기에서 비판 기능이란 누군..
-
"혼자 듣기엔 아까워요":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두 번째 교육 후기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8. 26. 10:05
2020년 8월 25일,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해결중심상담 기본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2020년 중‧저위험의 우울 및 자살예방 상담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관 실무자 지원 연수"의 한 부분으로 실시되었다. (참여하신 분들은 대부분 지역사회 종합 복지관에서 강점관점으로 사례관리 업무를 하고 계신 동료분들이었다.) 후기를 적어 본다. (1) 이번 교육은 정신건강 이슈(우울 및 중-저 수준 자살위험)와 지역사회복지기관을 연결하는 취지로 열린 교육이다. 그래서인지 참여하신 사회복지사 동료 분들의 눈빛이 하나 같이 초롱초롱 밝다(모든 분들이 학습 의욕이 강하셨다). 그리고 주지영 부센터장님과 잠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는데, 가지고 계신 기본 컨셉이 내 생각과 무척 비슷했다: "복지관에서 일하고 계신..
-
우리는 최선을 다했어 - 그 이후는 청소년에게 달려 있어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8. 25. 05:51
나도 여름방학 기간을 가졌다. 여름을 맞이하여 그동안 카카오톡(그룹콜)으로, 줌(Zoom)으로 가르쳐 왔던 모든 반에 방학을 선언하고 약 2주간 쉬었다. 여름방학의 묘미는 내내 잊고 있다가 개학이 내일 모레로 다가왔을 때, 벼락치기로 준비하는(예컨대 두 달치 일기를 하루에 다 쓰는!) 신공에 있을 터인데... 그래서 나도 학생들에게 여름방학 과제를 내 드렸다. 주제: 해결중심모델의 개뱔역사/관점에서 배운 내용이 자신의 삶과 생각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내가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께서는 여름방학 그 자체는 좋아하셨겠지만, 과제는 싫어하셨을꼬? 아니다. 다들 굉장히 열심히 과제를 하셨고, 방학 후 다시 만난 자리에서 제출받은 과제물은 기대 이상의 수준을 달성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 중 몇 편을 소개해 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