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공부방
-
뭔가를 성취해야만 세상에 필요한 사람인 줄 알았어요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7. 5. 00:19
(*2020년 봄학기에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이재원 선생이 가르치는 가족상담 강의를 수강한 학생의 소감문. 학생에게 공식적으로 글 사용을 허락 받았음.) 처음에 이론으로 해결중심 상담을 접했을 땐 다른 이론과 비슷한 이론이라는 마음으로 접했습니다. 그리고 6주차부터 해결중심모델에 대하여 처음 접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 들었던 감정은 "낯설음" 이었던 것 같습니다. 모든 질문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으려는 질문으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너가 궁금해’"라는 접근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게 너무 낯설게 느껴졌습니다. 여태까지 사람들은 저의 상태가 알고 싶어서 ‘너가 궁금해’ 라고 묻기보다는, 제가 그들에게 도움이 될지, 이익이 될지를 알기 위해서 질문을 했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저는 어..
-
한 학기 동안 다른 대가를 소개해 주셨지만...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7. 4. 21:12
처음 접해보는 수업, 처음 접해보는 과제, 처음 접해보는 피드백 방식, 모든 게 처음인만큼 "교수님"을 "선생님"으로 칭하고 대하는 것이 낯설었다. 사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가 없다는 공지에 "선생님께서 얼마나 버거운 과제를 주실까" 한 편으로 두려운 마음이 있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너무나도 효과적이었다. 그동안 겪었던 수업처럼 시험 한 두 개로 점수가 판가름 되고, 수업보다는 시험에 전력을 다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지 않았다. 이전에는 시험을 보기 위해서 한 학기 동안 배운 수업 내용을 읽고 또 읽으며 억지로 암기해야 했다. 하지만 이재원 선생님께서 매주 내주신 과제 덕분에 수업에 집중할 수 있었고, 그 과정이 꽤 즐거웠다: "이 강의에서 핵심 내용은 이 부분인 것 같은데... 이 부분을 고민하고 질..
-
여전히 매순간 감동한다는 것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7. 4. 00:57
2020년 봄 학기, 모교(성공회대학교)에서 해결중심모델을 강의했다. 모든 강의가 끝난 후에, 학생들에게 간단한 소감문을 받았다. 그 중 인상적인 글을 소개한다. 꾸밈 없이 담백한 글이다. (*학생에게 이 글을 사용해도 된다는 허락을 공식적으로 받았음.) 나아지기 위해 방문한 상담에서는 전문가의 입장에서 내담자를 조금은 통제하며 치료를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다. 오만하게 문제를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관점, 문제는 본인에게 있으니 심각성을 인지하라는 식의 내담자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태도가 내 안에 있었던 것이다. 가끔 사회복지를 공부하며 내 안에 있는 부끄러운 낙인, 고정관념을 부딪힐 때 자책하기도 한다. 선생님의 답변을 듣고 또 ’아차!’ 싶었고 너무나도 부끄러웠다. 전문가를 내담자보다 우위에 있는..
-
선생님만큼 신경을 많이 써주시는 분은 처음이었습니다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7. 3. 10:09
2020년 봄 학기, 모교(성공회대학교)에서 해결중심모델을 강의했다. 모든 강의가 끝난 후에, 학생들에게 간단한 소감문을 받았다. 그 중 인상적인 글을 소개한다. 꾸밈 없이 담백한 글이다. (*학생에게 이 글을 사용해도 된다는 허락을 공식적으로 받았음.) (1) 좋았던 점 매주 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질문을 적어서 과제를 제출했던 것이 좋았습니다. 솔직히, 온라인 강의는 마음만 먹으면 수업에 소홀할 수 있는데, 매주 과제를 제출해야 하니까 더 열심히 듣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강의를 듣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질문과 실천할 점을 생각하며 배운 내용을 심화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매번 과제를 내고 선생님이 피드백을 해주시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30명에 달하는 학생들의 과제를 매주 보고 피..
-
내담자가 "주인공"이라니... 충격이었다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7. 3. 10:07
2020년 봄 학기, 모교(성공회대학교)에서 해결중심모델을 강의했다. 모든 강의가 끝난 후에, 학생들에게 간단한 소감문을 받았다. 그 중 인상적인 글을 소개한다. 꾸밈 없이 담백한 글이다. (*학생에게 이 글을 사용해도 된다는 허락을 공식적으로 받았음.) 해결중심에 대해 배우며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기존의 틀 즉, 고정관념을 깨버리는 것의 중요성이다. 특히, 내담자를 주인공으로 바라보는 관점은 처음엔 상당히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당연히 지금까지 상담이라 하였을 때 상담자는 곧 전문가이며 그 권위를 이용하여 내담자가 원하는 어떠한 것을 해결해주는 것으로만 생각하였는데, 해결중심을 배우며 이러한 부분이 완전히 깨지고 오히려 정반대라는 사실이 정말 놀라웠다. 또한 세상을 바라보는 내 시야가 정말 좁고 나도 ..
-
살면서 칭찬을 제일 많이 들었어요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7. 3. 10:06
이재원 선생님, 안녕하세요? 구체적인 형식이 없다고 하셔서, 편지 형태로 남기려고 합니다. 코로나 19사태로 온라인 강의가 낯설어서 많이 힘드셨을 텐데 이렇게 강의를 끝까지 이끌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를 들으면서 조금은 낯선 수업 방식에 적응하는 기간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더 기억에는 많이 남을 것 같습니다. 누군가 앞에서 제 이야기를 하고 그리고 저에 대해 질문을 받는 환경이 처음에는 낯설었지만 이제는 익숙해졌어요. 제 이야기를 한다는 게 더 이상 부담스럽게 느껴지지 않게 됐거든요. 솔직히, 해결중심모델 수업에서 감명을 많이 받았습니다. 특히, 내담자를 대하는 태도나 전제가 마음에 들었어요. 그동안 저는 치료자의 관점만 주목해 봤지 내담자의 경험에 주목했던 적은 없었던 거 같..
-
하지만 선생님은 다르셨습니다.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7. 2. 23:32
2020년 봄 학기, 모교(성공회대학교)에서 해결중심모델을 강의했다. 모든 강의가 끝난 후에, 학생들에게 간단한 소감문을 받았다. 그 중 인상적인 글을 소개한다. 꾸밈 없이 담백한 글이다. (*학생에게 이 글을 사용해도 된다는 허락을 공식적으로 받았음.)저는 그렇게 질문을 잘 하는 학생은 아닙니다. 수업을 들으면 큰 문제없이 이해했고, 질문을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그렇기에 매주 제출해야 하는 질문은 솔직히 저에게는 큰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 ‘질문할 게 없는데 뭘 해야지?’ 처음에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래도 써서 내야 하니까 계속 생각하고 고민했습니다. 강의를 듣고 나서 토요일 자정이 다가올 때까지 생각한 적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질문을 위해 고민하고 다시 필기한 것을 읽고 하다 보니 ‘아..
-
심지어 약자를 비난하고 싶기도 했다상담 공부방/해결중심상담 교육 후기 2020. 7. 2. 23:15
2020년 봄 학기, 모교(성공회대학교)에서 해결중심모델을 강의했다. 모든 강의가 끝난 후에, 학생들에게 간단한 소감문을 받았다. 그 중 인상적인 글을 소개한다. 꾸밈 없이 담백한 글이다. (*학생에게 이 글을 사용해도 된다는 허락을 공식적으로 받았음.) 2020년 1학기 수업을 마치며. 마지막 남은 전공수업이었다. 고심 끝에 가족 상담과 가족치료라는 수업을 선택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내가 가지고 있던 결핍을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배우게 된, 학부생활에서 가장 기억에 남을 수업이 되었다. 학부를 다니면서 이용자(클라이언트)를 바라보는 다양한 이론을 배워왔지만, 깊이 배웠던 적이 없었다. 항상 우리 사회에서 어떠한 복지의 결핍이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 ‘사회’와 ‘정부’가 부족한 ..